93세 워렌버핏의 왕성한 비즈니스 활동 비결 '마인드 피트니스'

728x90
반응형

바하마의 현인, 미국 금융시장의 구루로 불리는 워렌 버핏은 93세인 지금 왕성한 경제활동을 진행하며 많은 금융인, 투자자들의 존경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워렌버핏도 투자자인 동시에 버크셔 헤서웨이의 CEO로 활도 중에 있습니다. 많은 CEO들은 기업을 운영하며 스트레스에 노출되며 빠른 노화, 건강 상 문제를 노출하곤 하지만, 그에게는 해당 사항이 없는 말인 것 같다 느낄 정도로 건강한 모습을 보입니다.

 

아마 그의 건강 비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마인드 피트니스'일 것입니다.

 

마인드 피트니스를 실천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1. 생체시계라고 불리는 시상하부가 기능하는 방식을 이해해야 합니다. 시상하부 상태를 즉각적으로 점검해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는 감기에 걸리는 횟수를 점검하는 것입니다.

 

2. 마인드 피트니스의 핵심 원리는 찰나의 순간일지라도 스트레스로부터 실제로 벗어날 수 있는 의미 있는 대처 행동을 함으로써 시상하부에 스트레스 정보가 축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3. 마인드 피트니스는 단순히 배우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평생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훈련해야 한다.

 

4. 마인드 피트니스를 훈련할 때 시상하부의 컨디션을 조절하는 행동을 백조 유형의 행동과 구분해야 한다.

 

 

위의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는 마인드 피트니스를 구체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1. CEO 통해 살펴보는 스트레스로 인한 노화와 수명단축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세계 유명 커피 프랜차이즈인 '스타벅스'의 CEO로 재직한 제임스 도널드는 취임 초기와 말기를 비교했을 때 엄청나게 노화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미국 前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 또한 나이에 비해 동안이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취임 초기 대비 말기에는 엄청나게 노화한 모습에 안타까움을 자아냈습니다.

 

 

 

마크 보르그슐테의 연구진은 시각적 기계 학습(Visual Machine Learing) 기술을 활용하여 CEO의 사진 3,000여 장을 분석하였습니다. 

 

아래의 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CEO들은 실제 나이보다 외모로 평가한 나이가 더욱 많아 보인다는 통계적 데이터도 제시되고 있다. 이처럼 스트레스가 노화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CEO의 실제 나이와 외모로 평가한 나이 비교

 

또한, 노화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는 그들의 수명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위기를 경험한 CEO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평균 1년 이상의 수명단축을 보였습니다.

 

이처럼 CEO의 스트레스는 개인의 노화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의사결정, 리더십 등에도 영향을 미침에 따라 수많은 사람에게 전가되는 위험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스트레스를 통제하기 위한 마인드 피트니스

 

마인드 피트니스의 핵심 원리는 '물병 들기'에 비유할 수 있다. 만약 우리가 평생 자그마한 물병을 계속 들고 서있어야 된다면 처음에는 자그마하고 가볍기 때문에 무리없이 들고 서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작은 크기의 물병도 계속해서 들고 있기란 쉽지 않습니다.

 

반면, 들고 있다가 잠깐 내려뒀다가 다시 들고 있는다면 오랜 시간동안 반복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도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스트레스는 처음에는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정신적 스트레스는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마인드 피트니스은 인생에서 배우는 중요한 삶의 기술 중 하나이며, 누구나 훈련할 수 있는 것입니다. 중요한 건 아는 사람은 알지만 모르는 사람은 모르는 기술입니다.

 

아래의 사례들은 유명 CEO들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들인데 이를 명하고 있진 않지만 '마인드 피트니스'라 할 수 있습니다.

 

  • 제프 베이조스(아마존 의장)
    • 스트레스는 당신이 어느정도 통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문제가 생기지 않으나 다만 문제가 생겼을 때, 대처하지 않는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 베이조스는 문제 상황을 인식하자마자 바로 전화를 걸거나 이메일을 보내어 접근한다. 이는 즉각적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더라도 심리적인 안정을 주는 효과가 있다 말한다.
  • 팀 쿡(애플 CEO)
    • 팀 쿡은 중압감을 떨쳐내기 위한 대처 방법을 소개하며 '정신적 구강 세정제(mental palate cleaner)'라고 표현했다.
    • 구강 세정제로 입을 헹구면 시원한 느낌이 드는 것처럼 마음을 정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CEO로서의 중암감이 강조될 때마다 잠깐동안 바람을 쐬거나 환기하는 것을 의미했다.
    • 대표적으로 사옥 내 애플파크(Apple Park)를 조성한 것이 그 이유이다.
  • 워렌버핏(버크셔 헤서웨이 CEO)
    • 워렌버핏은 한 인터뷰에서 본인의 통제권을 벗어난 난제들에 직면했을 때, 본인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는다 이야기했다.
    • 달리 해석한다면, 본인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에 더욱 집중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경감하는 것이다.
    • 더불어, 워렌버핏은 마이드 피트니스의 원리를 이해하고 계속 실천해야함을 강조했다.

 

3. 마인드 피트니스에 있어 유의할 점

 

마인드 피트니스를 진행함에 있어 '백조 타입'이라 불리는 행동 유형과 헷갈리지 말 것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백조는 수면에 우아하게 떠 있는 것과 같이 보이지만 실상은 오리처럼 연신 자맥질을 하여 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타인에게 보이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우리나라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정신적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생각하지만 쉽사리 드러내지 못한다. 최소한 스스로의 '마인드 피트니스'를 통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는 DBR(Dong-a Business Review)를 읽고 정리한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